참가자들은 그렇게 완성된 각자의 돌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.
다음은 초대장에 대한 응답으로, 참가자들이 보내준 자신의 진짜 돌에 대한 설명들 중 일부입니다.
The participants went home with their own created stones. The following are some of the descriptions of their real stones that the participants sent in response to the invitation.
•
돌은 비정형의 모습으로, 대칭을 잃고도 흔들림 없이 땅 위를 딛고 있다. 돌의 존재 양식은 균형 그 자체가 된다.돌의 내면을 되새기다가 나는 물을 떠올린다. 물은 돌을 품고, 돌은 물로부터 드러난다. 형태는 다르지만 속성은 같은 물. 물도 언제나 균형을 이루며 존재한다. 그렇게 나의 돌은 물이 된다.
•
저는 아침에 일어나 가장 먼저 커피를 마시기 위해 물을 끓입니다. 주전자 속 물이 끓는 소리는 힘들었던 지난 밤과 아직 꿈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나를 일상으로 다시 되돌려주는 트리거와 같은 것입니다. 다시금 일어날 수 있게 해주는 내 손안의 꼭 쥐고 있는 돌과 같아요.
•
나의 일상에서 들리는 소리는 마치 물속에서 듣는 것처럼 뭉개져 들린다. 물이 돌을 침식시키듯, 잘 들리지 않는 상황은 나에게 상처가 되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, 물속에서 숨 쉰다는 것은 버티며 나아감을 의미한다. 이러한 뭉개진 소리와 흐릿한 이미지는 내가 경험하는 감각이다.•
The real stone is me. I am the stone.I am the stone they hold with their judgment. I am the stone they press with expectations. I am the stone they crush with their words. The hands do not have to be there to hurt. In fact, they damage me more when I think about them. I become a reflection of how I believe others perceive me. I go through life with no control over these hands because, deep down, I crave them. They own me. And with each touch, I weather—so slowly, so gradually—that I cannot remember the erosion. I cannot remember what I was before it began. I wander from one hand to another for so long that, in the brief moments I return to myself, the erosion is still there, as if it always was.
I am the real stone because I only exist in the endless paths I imagine for myself. I feel I will only be real once I experience the fall and the impact upon arrival. By then, the erosion will have sharpened my thoughts, each one a bridge to countless possibilities, to the fear of choosing the wrong path, to the need to examine every option carefully. I am the stone because the cycle always ends with the realization that there is no right or wrong. The only destination that truly exists is where I stand. The only real destination is me.
It’s me. I am the stone.
•
돌은 던져질 때야 비로소 정적인 존재에서 동적인 존재로 탈바꿈하여 비상한다. 그리고, 머지않아 내가 던졌던 그곳으로 돌아온다. 그것은 나를 떠나는 게 아니라 새로운 나에게 같은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다.내게 새롭게, 동시에 같은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 건 일기장이다.
언제나 새로운 일기장 한 장이 주어진다는 필연성과 어떤 장이건 넘겨야 한다는 그 당위를 알면서도 하루는 써 내려가기 전부터 넘기는 순간으로 앞서가 슬퍼했고, 아무렇지도 않은 한순간을 고이 붙잡아 두다가 한참 뒤에야 넘겼다. 또 어느 날은 쥐고 있지도 못할 정도로 무거워 미리 넘겨버리기도 했다.
역설적이게도 일기장 한장 한장에 많은 걸 쏟아내야 가벼이 넘어간다. 한 장에 모든 걸 다 담아냈을 때야 본래의 빳빳한 것이 아니라 다 견뎌낸 것의 경쾌한 소리가 들린다.
Home